“나는 부끄럽지 않다. 부끄러운 것은 일본정부다”라고 외치신 故 김학순 할머니가 피해사실을 처음 공개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로 최초로 제기한 날이 바로 오늘 8월 14일입니다.
국정위원회에서 국정과제로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 정부 지정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연구소 설치를 추진하기로 한 것은 정말 뜻 깊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19대부터 ‘위안부’ 기림일을 국가 공식 기림일로 하기 위한 법안이 여럿 발의됐지만 전 정부와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이번 20대국회에는 꼭 통과될수 있도록 여가위에서 하루빨리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한 역사적 자료의 수집, 조사, 연구 및 교육 등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연구기관의 설치를 위해 「일본군위안부피해자법」을 발의했습니다.
현재까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분들은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증언이나 집회에 나서는 등 일본의 역사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애를 쓰고 계시지만, 광복 72주년을 맞는 현재까지도 피해자들의 증언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사실 규명이 취약한 실정입니다. 전문적인 연구소를 설치하여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과 관련된 사료 발굴 및 역사적 입증을 공고히 하고 역사왜곡에 대응하는 연구물들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 2015년 12‧28 한일합의 무효와 화해치유재단 해산, 그리고 일본정부의 위로금 10억엔 반환을 통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이 필요합니다.
진실과 정의를 위해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을 맞아 많은 사람들이 아픈 역사를 잊지 말고 할머니들에게 힘이 되었으면 합니다.